📍 다메섹(Damascus)의 지리적 위치
- 현대 위치: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(Damascus)
- 고대 위치: 레바논 산맥 동쪽, 바사(Bashan)와 골란 고원의 서남쪽에 위치
- 주요 특징:
- 오랜 시간 동안 무역과 문화의 중심지였음
- 유프라테스 강과 지중해 사이의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여 전략적 요충지
- 바라다 강의 혜택을 받아 비옥한 농업 지역 형성
🏺 아람(Aram)의 역사적 배경
- 정치적 중심지: 아람 왕국의 중심지는 다메섹 (아람-다메섹)
- 언어: 아람어 (후에 메소포타미아와 유다, 이스라엘 지역에서도 널리 사용됨)
- 주요 왕국들: 아람-다메섹, 아람-소바, 아람-마아카, 아람-벳르홉 등 여러 소왕국 존재
📜 역사 개요
시기주요 내용
| 기원전 12~10세기 | 아람 민족이 시리아 내륙에서 성장, 다메섹 중심으로 세력 확장 |
| 기원전 9세기 | 하닷에세르, 벤하닷 등 강력한 왕들 등장. 북이스라엘 왕국과 빈번한 충돌 |
| 기원전 8세기 | 아람-다메섹 왕국, 아시리아의 디글랏빌레셀 3세에 의해 멸망 (기원전 732년) |
| 이후 | 아람 지역은 아시리아-바벨론-페르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음. 아람어는 국제어로 자리잡음 |
✝️ 성경에서의 언급
- 아브라함 시대: 아람은 아브라함의 조카 라반의 고향 (창세기 24장)
- 다윗 시대: 아람 왕들과 전투 (삼하 8:5~6)
- 엘리사 시대: 아람 왕 벤하닷과의 전쟁, 나아만 장군 이야기 (왕하 5장)
- 아람어: 예수 시대에도 사용되었으며, 신약에서 예수님의 일부 발언도 아람어로 전해짐 (예: "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")


'성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📘 북이스라엘과 앗수르의 관계 – 시대별 요약표 (0) | 2025.05.03 |
|---|---|
| 📖 이사야 17장 구조 요약표 (0) | 2025.05.03 |
| 📖 아모스 1~2장: 열방 심판 구조 요약표 (1) | 2025.05.03 |
| 📌 1. “그 날에”는 언제인가? (0) | 2025.05.03 |
| 다메섹의 서너 가지 죄로 인하여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(0) | 2025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