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📖 성경 본문 (아모스 1:3, 개역개정)
“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다메섹의 서너 가지 죄로 말미암아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, 이는 그들이 철 타작기로 길르앗을 압박하였음이라”
2. ✨ 문학적 표현 – “서너 가지 죄로 인하여”
- “서너 가지 죄”(히브리어: שְׁלֹשָׁה פִּשְׁעֵי)라는 표현은 문학적 강조 표현입니다.
- 원래 ‘세 가지’로도 충분한데 ‘네 가지’까지 간, 즉 죄가 가득 차서 더는 참을 수 없다는 뜻.
- 이는 고대 히브리 문학에서 ‘과도함’을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(욥기 5:19 참조).
📌 의역하면: “수많은 악행이 쌓여 이제는 더 이상 용서하지 않겠다.”
3. 🏛️ 역사적 배경 – 다메섹과 길르앗
- 다메섹은 아람 왕국의 수도, 북이스라엘과 오랜 기간 전쟁과 침략을 반복한 도시입니다.
- 길르앗은 요단강 동쪽의 이스라엘 영토로, 아람이 잔혹하게 공격한 지역입니다.
- 구절에 등장하는 철 타작기는 농기구이지만, 이 표현은 잔혹한 폭력과 학살을 상징합니다.
📌 즉, 아람(다메섹)이 이스라엘 길르앗 지역 주민들에게 비인간적이고 잔인한 전쟁 범죄를 저질렀음을 지적합니다.
4. ⚖️ 신학적 의미 – 하나님의 공의
- 아모스는 북이스라엘뿐 아니라 주변 열방도 하나님의 심판 대상임을 선언합니다.
- 하나님은 모든 민족의 악행을 기억하고 심판하시는 공의의 하나님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.
- 국제적 정의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, 하나님의 정의는 이스라엘을 포함한 모든 나라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보여줍니다.
✅ 정리
구절 요소해석
| “서너 가지 죄” | 죄악이 한도를 넘어섰다는 문학적 강조 |
| “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” | 용서하지 않고 반드시 심판하시겠다는 선언 |
| “철 타작기로 길르앗을 압박” | 아람의 잔혹한 침략과 전쟁 범죄 |
| 전체 의미 | 하나님의 보편적 정의와 열방에 대한 심판 선언 |
'성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📘 북이스라엘과 앗수르의 관계 – 시대별 요약표 (0) | 2025.05.03 |
|---|---|
| 📖 이사야 17장 구조 요약표 (0) | 2025.05.03 |
| 📖 아모스 1~2장: 열방 심판 구조 요약표 (1) | 2025.05.03 |
| 📌 1. “그 날에”는 언제인가? (0) | 2025.05.03 |
| 📍 다메섹(Damascus)의 지리적 위치 (0) | 2025.05.03 |